본문 바로가기

디프테리아

소중한 우리가족 건강지킴이 영주시 보건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병원체

디프테리아를 일으키는 원인은 Corynebacterium diphtheriae라는 그람양성균입니다. 이 균은 인체에 치명적인 독소를 생성하여 질병을 일으킵니다.

디프테리아 병원체 이미지
전파양식

디프테리아는 환자나 보균자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 전염됩니다. 드물게는 분비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감염될 수도 있고, 생우유가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디프테리아는 밀집상태에서 살고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 특히 15세 이하의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에 걸리기 쉽습니다.

임상증상 및 합병증

병원균이 몸 안에 침범한 후 약 2∼5일간 잠복해 있다가 증상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때에 따라 이 기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균은 인두, 후두, 코의 점막과 피부, 드물게는 결막, 음부를 침범하여 질환을 일으킵니다. 균에서 만들어진 세포독소에 의해 회백색을 띠는 막이 감염된 인두와 피부에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인두나 편도에 디프테리아가 감염되면 인두통이 생기고 주위 임파선도 부어 통증이 생깁니다. 더 심해지면 경부 종창이 뚜렷해집니다. 후두 디프테리아는 기도를 막아 숨을 쉬기 어렵게 될 수 있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코에 디프테리아가 감염되는 경우는 보통 한쪽에만 생기고, 점막이 벗겨져 맑은 분비물이 나오고 심해지면 피가 섞여 나옵니다. 디프테리아 균이 만든 세포독소가 인체에 흡수되면서 생기는 후기 증상은 2∼6주 후에 나타나서 신경을 마비시킵니다. 또, 심근염은 비교적 빠른 1∼2주 후에 생기고, 종종 중증이 되어 갑작스런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디프테리아 이외의 사망률은 5∼10%입니다.

디프테리아 임상증상 및 합병증  이미지
진단 및 치료

임상적으로 편도염, 인두염의 증상이 있으면서, 특징적인 회백색막이 구개, 연구개까지 덮혀 있으며, 경부 림프절 종창, 장액성 또는 혈성 비분비물이 있는 점 등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인두염, 각종 피부 질환 등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확진은 병변 부위에서 균을 검출하는 것인데 디프테리아균은 일반세균을 위한 인두배양용 배지에서는 자라지 않기 때문에 디프테리아용 배지 특수 배지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확정 진단에 관계없이 임상적으로 의심되면 바로 시작하여야 하고, 균이 음성이라도 치료를 끝까지 해야 합니다. 즉, 임상적으로 디프테리아가 의심된다면 세균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지체 없이 항독소 혈청을 투여한 후 이어서 항생제를 14일 동안 투여합니다.

관리 및 예방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즉각 환자 소재지의 보건소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디프테리아에 걸린 후 치료하지 않은 사람은 약 2주에서 4주까지 전염력 있는 균을 배출하기 때문에 인두 디프테리아 환자는 격리하여 치료하며, 환자의 분비물도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해야 합니다. 피부 디프테리아 환자의 병변 부위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한 다음,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채취한 코 및 인두부 (피부형에서는 피부도 필요하다)의 검체에서 모두 균이 음성이면 격리는 해제시켜도 좋습니다. 임상적으로는 14일간의 치료가 끝나면 격리는 해제됩니다.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세균학적 검사를 받고 7일간은 감시 하에 두어야 합니다. 균이 음성으로 증명될 때까지 식품, 특히 우유를 만지거나, 소아와 접촉, 학교나 직장에 나가서는 안 됩니다. 균 양성자는 반드시 항생제 치료를 마쳐야 합니다. 백신접종 유무에 상관없이 환자와 접촉한 자에게는 예방투약이 권장됩니다. 또한, 백신 접종자는 추가 접종을 받고, 미접종자는 각 연령에 따라 정해진 스케줄에 의해 접종 받아야 합니다.

예방접종은 DTP 3종 혼합 백신으로 시행하는데, 유행지역의 7세 이하 소아에 대해서는 생후 6-8주 경부터 4-8주 간격으로 3번 투여하고, 3번째 투여 6∼12개월 후 DTP백신의 4번째를, 지역에 따라 4∼6세에 5번째를 접종하도록 되어 있으며, 백일해 백신이 금기이면 DT백신을 접종합니다.

예방접종 여부 및 시기별 접종 스케줄은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바로가기